Computer Science 63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의 차이

쿠키와 세션: 웹 애플리케이션의 필수 요소쿠키(Cookie)란?쿠키의 개념쿠키는 웹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작은 텍스트 파일입니다. 쿠키는 사용자의 방문 기록, 로그인 정보, 사용자 설정 등을 저장하여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재방문할 때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쿠키의 주요 기능세션 관리: 로그인 상태 유지, 장바구니 관리 등개인화: 사용자 설정, 테마, 선호도 저장트래킹: 사용자 활동 추적 및 분석쿠키의 종류세션 쿠키: 브라우저를 닫으면 삭제되는 일시적인 쿠키영구 쿠키: 만료일이 설정되어 있는 지속적인 쿠키서드파티 쿠키: 제3자가 설정하는 쿠키로, 주로 광고 및 트래킹 목적세션(Session)이란?세션의 개념세션은 웹 서버가 사용자와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세션..

Computer Science 2025.02.11

프록시(Proxy)

프록시(Proxy): 네트워크의 중재자프록시(Proxy)란?프록시의 개념프록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중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중계 서버입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신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의 응답을 클라이언트에 반환합니다. 프록시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고,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강화하며,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프록시의 주요 기능트래픽 제어: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불필요한 트래픽을 차단합니다.보안 강화: 사용자의 IP 주소를 숨기고, 악성 웹 사이트로부터 보호합니다.프라이버시 보호: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을 익명으로 유지하고, 개인 정보를 보호합니다.캐싱(Caching): 자주 요청되는 리소스를 캐싱하여 응답 속도를 향상시킵니다.프록시의 종류정방향 프록시(Forward ..

Computer Science 2025.02.10

HTTP 상태 코드

HTTP 상태 코드의 개념HTTP 상태 코드는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할 때, 그 요청의 결과를 나타내는 3자리 숫자입니다.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의 상태나 요청 처리 결과를 설명하며, 웹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HTTP 상태 코드의 종류HTTP 상태 코드는 5개의 범주로 나뉩니다:1xx (정보): 요청을 받았으며, 처리를 계속함을 나타냅니다.2xx (성공):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을 나타냅니다.3xx (리다이렉션): 요청한 리소스가 다른 위치로 이동되었음을 나타냅니다.4xx (클라이언트 오류):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냅니다.5xx (서버 오류):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주요 HTTP 상태 코드 ..

Computer Science 2025.02.09

HTTP와 HTTPS

HTTP와 HTTPS인터넷이 일상생활의 필수적인 부분이 된 오늘날, 우리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다양한 웹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이러한 웹 사이트와 우리의 브라우저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 바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입니다. 최근에는 보안을 강화한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가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HTTP의 개념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입니다.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HTTP는 상태가 없는 프로토콜로, 각 요청과 응답이 독립적으로 처리됩니다.HTTPS의 개념HTTP..

Computer Science 2025.02.08

TCP와 UDP의 차이

TCP와 UDP란?인터넷의 발달로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데이터 통신을 통해 우리의 요구를 충족시킵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이러한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프로토콜입니다.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CP의 특징TCP는 연결 지향 프로토콜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가 정확히 도착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손실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TCP의 작동 방식연결 설정 (Three-..

Computer Science 2025.02.07

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

서버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의 핵심 개념서버와 클라이언트란 무엇인가?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는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필수적인 두 가지 구성 요소입니다. 이 두 개념은 데이터를 제공하고 요청하는 역할을 나누어 네트워크 상에서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서버는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입니다. 서버는 데이터를 저장, 관리, 처리하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데이터나 자원을 전달합니다. 반면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서버의 종류와 기능서버는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Computer Science 2025.02.06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무엇인가?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저장, 처리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기존의 로컬 서버나 개인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대신,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사용자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인터넷 연결을 통해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오늘날의 디지털 시대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과 비즈니스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클라우드 컴퓨팅의 주요 모델주로 세 가지 모델로 분류됩니다. 인프라 서비스(IaaS), 플랫폼 서비스(PaaS), 소프트웨어 서비스(SaaS). 각 모델은 서로 다른 수준의 제어와 관리를 제공하며, 비즈니스 요구에 맞게 선택할 수 있습..

Computer Science 2025.02.05

암호화폐(Cryptocurrency)

암호화폐란 무엇인가?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디지털 통화로, 중앙은행이나 금융기관의 개입 없이도 거래가 가능한 탈중앙화 암호화폐입니다. 암호화폐는 중앙은행이나 금융기관의 개입 없이 운영되며,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거래 기록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이중 지불 문제를 방지합니다. 블록체인은 모든 암호화폐 거래를 기록하는 공용 원장으로, 누구나 열람할 수 있지만 수정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암호화폐의 주요 구성 요소블록체인(Blockchain): 모든 거래 기록을 저장하는 분산 원장입니다.노드(Node):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컴퓨터입니다.채굴(Mining): 새로운 암호화폐를 생성하고 거래를..

Computer Science 2025.02.04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

NFT란 무엇인가?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입니다. 각 NFT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며, 대체할 수 없는(unique) 자산을 의미합니다. 이는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와 달리, 각각의 NFT는 서로 다른 가치를 가지며, 동일한 가치로 교환할 수 없습니다. NFT는 예술 작품, 음악, 동영상, 게임 아이템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대표할 수 있습니다.NFT의 주요 구성 요소고유 식별자: 각 NFT는 블록체인 상에서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메타데이터: NFT는 해당 자산의 특성과 소유권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소유권: NFT는 블록체인 상에서 소유권을 기록하고, 소유자 간의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Computer Science 2025.02.03

블록체인(Blockchain)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블록(Block) 단위로 묶어 체인(Chain) 형태로 연결한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입니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과 연결되어 있으며, 새로운 블록이 추가될 때마다 기존 블록의 해시 값이 포함되어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블록체인은 중앙 권한 없이 참여자들 간의 신뢰를 구축하고,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블록체인의 주요 구성 요소블록(Block): 데이터가 포함된 단위로, 이전 블록과 연결됩니다.트랜잭션(Transaction): 블록에 포함된 개별 데이터 항목입니다.해시(Hash): 블록의 고유 식별자로, 블록의 내용을 기반으로 생성된 고유 값입니다.노드(Node):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별 컴..

Computer Science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