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

HTTP와 HTTPS

Nomad Lee 2025. 2. 8. 10:41

http

HTTP와 HTTPS

인터넷이 일상생활의 필수적인 부분이 된 오늘날, 우리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다양한 웹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이러한 웹 사이트와 우리의 브라우저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 바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입니다. 최근에는 보안을 강화한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가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HTTP의 개념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입니다.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HTTP는 상태가 없는 프로토콜로, 각 요청과 응답이 독립적으로 처리됩니다.

HTTPS의 개념

HTTPS는 HTTP에 SSL/TLS 암호화 계층을 추가한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도청, 변조, 위조 등의 공격을 방지합니다. HTTPS는 웹 사이트의 신뢰성을 보장하며, 사용자 데이터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HTTP의 역사

HTTP는 1989년 팀 버너스 리(Tim Berners-Lee)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1991년 World Wide Web의 첫 번째 버전과 함께 공개되었습니다. 이후 여러 번의 개선을 거쳐 현재의 HTTP/2와 HTTP/3로 발전해 왔습니다.

HTTP/1.0

1996년에 표준화된 HTTP/1.0은 첫 번째 대규모 상용 버전입니다. 단일 연결을 통해 하나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며, 각 요청마다 새로운 연결을 설정합니다.

HTTP/1.1

1997년에 등장한 HTTP/1.1은 HTTP/1.0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성능을 개선한 버전입니다. 지속적 연결(Persistent Connection)과 청크 전송 인코딩(Chunked Transfer Encoding)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HTTP/2

2015년에 표준화된 HTTP/2는 성능과 보안을 강화한 버전입니다.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을 통해 단일 연결에서 여러 요청과 응답을 처리할 수 있으며,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등의 기술이 도입되었습니다.

HTTP/3

HTTP/3는 2020년 초에 초안이 발표된 최신 버전으로, QUIC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합니다. 연결 설정 속도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욱 향상되었습니다.

HTTP의 작동 방식

HTTP는 요청-응답(Request-Response) 모델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가 요청(Request)을 보내면, 서버가 응답(Response)을 반환하는 방식입니다.

HTTP 요청

  • 요청 방법(Method): GET, POST, PUT, DELETE 등의 메서드를 사용하여 특정 동작을 정의합니다.
  • URL: 요청할 리소스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 HTTP 버전: 사용 중인 HTTP 프로토콜의 버전을 명시합니다.
  • 헤더(Header): 요청에 대한 추가 정보를 포함합니다.
  • 본문(Body): 필요한 경우, 요청과 함께 전송되는 데이터입니다.

HTTP 응답

  • 상태 코드(Status Code): 요청의 처리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 코드입니다. 예: 200(성공), 404(리소스 없음), 500(서버 오류)
  • HTTP 버전: 사용 중인 HTTP 프로토콜의 버전을 명시합니다.
  • 헤더(Header): 응답에 대한 추가 정보를 포함합니다.
  • 본문(Body): 요청한 리소스나 데이터가 포함됩니다.

HTTP의 주요 특징

상태 없음(Stateless)

HTTP는 상태가 없는 프로토콜입니다. 각 요청과 응답이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서버는 이전 요청의 상태를 기억하지 않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등이 사용됩니다.

유연성

HTTP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연성 덕분에 HTTP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널리 사용됩니다.

확장성

HTTP는 확장 가능한 프로토콜로, 새로운 기능과 확장이 용이합니다. 이는 웹 기술의 발전과 함께 HTTP가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있는 이유입니다.

HTTPS의 작동 방식

HTTPS는 HTTP와 동일한 요청-응답 모델을 따르지만, 추가적으로 SSL/TLS 암호화를 통해 보안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SSL/TLS

SSL(Secure Sockets Layer)과 TLS(Transport Layer Security)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는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HTTPS는 SSL/TLS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안전한 통신을 제공합니다.

HTTPS 인증서

HTTPS를 사용하려면 웹 서버에 SSL/TLS 인증서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 인증서는 공인 인증 기관(CA)에서 발급되며, 서버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인증서를 통해 서버의 신원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습니다.

HTTP와 HTTPS의 차이점

  HTTP HTTPS
보안 암호화되지 않음 SSL/TLS 암호화 사용
데이터 보호 도청, 변조, 위조에 취약 데이터 보호 및 무결성 보장
인증 없음 SSL/TLS 인증서 필요
신뢰성 상대적으로 낮음 높은 신뢰성
속도 상대적으로 빠름 암호화로 인해 약간 느림

마무리

HTTP와 HTTPS는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필수적인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기본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HTTPS는 보안을 강화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신뢰성과 보안이 중요한 경우에는 HTTP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록시(Proxy)  (0) 2025.02.10
HTTP 상태 코드  (1) 2025.02.09
TCP와 UDP의 차이  (1) 2025.02.07
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  (3) 2025.02.06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1)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