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앙라이를 떠나기 전 렌터카를 반납하고 치앙라이 버스터미널에서 버스 타는 시간이 약 1시간 이상 남아 Hilltribe Museum을 간단하게 둘러보고 가기로 했다.
Hilltribe Museum · อาคารสมาคมพัฒนาประชากรและชุมชน Thanalai, Tambon
★★★★☆ · 박물관
www.google.com
치앙라이 1버스터미널에서 걸어서 약 10분 정도면 갈 수 있는 곳인데 Chiang Rai City Park 근처에 세븐일레븐 옆 건물에 위치해 있다.
이 건물 1층은 방콕이나 파타야에서도 볼 수 있는 유명한 식당인 Cabbages & Condoms 가 있고 PDA라는 Popul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Association이라는 에이즈 방지 및 가족이나 문화 관련 일을 하는 NGO기관이 운영하고 있다.
Hilltribe Museum은 건물 3층에 있는데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면 직접 그린듯한 간판이 반겨준다.
입장료는 50밧이고 규모는 작지만 여러 소수민족에 대한 자료나 의상, 공예품 전시나, 소수민족 관련 투어도 예약하거나 할 수 있는 듯하다.
입장료를 내고 입장하면 소수민족 관련 영상을 먼저 볼건지 물어봐 주시고, 여유롭게 전시를 둘러 볼 수 있다.
소수민족별 의상 특징인데 실제로 아카(Akha)족 의상은 치앙라이 주변을 돌아다니며 본 적이 있다.
전시관 안에는 아편과 관련된 역사나 소수민족과 관련된 포괄적인 자료들도 있고, 각 부족에 대한 설명과 전시가 있다.
아카, 리수, 라후, 미엔, 카렌, 몽 족등 여러 종류의 소수민족이 살고 있는데 서로 특징이 있지만 비슷한 문화가 있기도 하다.
아카(Akha)족은 중국 남서부,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에도 있는 소수 민족인데 수세기동안 중국과 티베트에서 이주해 현재 태국, 라오스, 버마로 이주했기 때문이다.
미엔(Mien)족은 야오(Yao)족 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중국에도 많이 있다고 한다. 손재주가 좋은 부족인 듯하다.
리수(Lisu)족은 역시 중국 남부지방에 거주했던 소수민족으로 꽃을 좋아하는 민족이라고 한다. 그래서 아편 재료인 양귀비 재배와 밀접한 부족이었고 아직도 소수는 양귀비 재배를 한다고 한다.
카렌(Karen)족은 태국에 정착한 산악민족 인구의 45% 정도를 차지한다는 태국 최대의 산악민족이라고 하는데, 한 번쯤 목에 황동으로 만든 목걸이를 여러 개 차고 있는 긴 목을 가진 여성을 내셔널 지오그래픽이나 다큐멘터리 같은 곳에서 본전이 있을 것이다. 카렌족의 하위 부족이라고 하는데 치앙마이에 고산족 마을을 가면 만나볼 수 있다.
몽(Hmong)족은 중국의 묘족이라고 들어봤을 텐데 그쪽 계통인 듯하다.
라후(Lahu)족은 고구려의 후손이라는 말도 있는데 실제로 김치와 된장을 담가먹고 설날에 색도옷을 입는 등 민속이나 풍습이 비슷하다고 한다.
라후족은 레드 라후, 블랙 라후 등 하위 부족이 있는 듯한데 한국어와 비슷한 게 많다고 한다. 예를 들어, 1인칭인 '나'와 2인칭인 '너'가 똑같고 다른 라후족 언어에서도 비슷한 점이 많다고 한다. 그래서 역사적으로나 언어학적으로 한국과 관련되어 많이 연구되고 있는 소수민족이라고 한다.
소수민족에 대해 구경하다 버스시간이 다 되어 떠나게 되었는데, 규모는 작지만 태국에 어떤 소수민족이 있는지, 문화나 기원을 알 수 있는 곳이었다.
치앙라이 및 치앙마이를 여행하다 보면 패키지로 소수민족 관련 기념품을 파는 곳에서 관광을 하며 잠깐 구경하고 지나가게 되는데 그런 것보다 실내에서 박물관도 둘러보며 각 소수민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더 관심이 있고 여유가 있으면 여기서 연결해 주는 실제 소수민족 마을을 가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앙마이] 타패 이스트(Thapae East) (1) | 2025.03.21 |
---|---|
[치앙마이] 왓 우몽(Wat Umong) 동굴사원 (0) | 2025.03.17 |
[치앙라이] 아카팜빌(Akha FarmVille) (4) | 2025.03.15 |
[치앙라이] 도이창 커피농장 (1) | 2025.03.11 |
[치앙라이] 야요팜(YAYO FARM) (0) | 2025.03.11 |